계약 페이지 우측 지출 탭에서
내역 추가하기 +
버튼을 클릭하세요.
지출 내역 입력 페이지에서
금액 우측 설정 버튼
을 클릭하세요.
비즈니스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
비용 처리 기준
을 선택한 후,설정 완료
를 클릭하세요.
(중요) 선택한 기준은, 모든 지출 금액의 입력 기준으로 적용돼요.
기준을 변경해도, 기존에 입력한 금액은 그대로 입력되어있어요.
ex. 세금 포함 10,000원 > 세금 제외로 기준 변경 시 ‘세금 제외 10,000원’으로 변경
ex. 세금제외로 기준 변경 시 모든 내역의 비용 처리 기준 ‘세금제외'로 변경
계약 페이지 우측 지출 탭에서
내역 추가하기 +
버튼을 클릭하세요.
지출내역 입력 화면이 등장하면,
지출 내역 정보
를 입력하세요.
모든 내용을 입력했다면,
저장하기
버튼을 클릭하세요.만약, 아직 지급되지않은 미지급금일 경우 하단
미지급(지급예정)
을 체크하세요.미지급을 체크할 경우, 대시보드에서 미지급 리스트를 d-day로 확인할 수 있어요.
수신 세금계산서 체크가 필요할 경우, 좌측
세금계산서 수신 필요
를 체크하세요.수신 완료 여부에 따라 수신 예정일과 세금계산서 작성일자를 입력해둘 수 있어요.
만약 해당 지출 내역의 입력 기준이 '세금 제외' 인데,
특별히 세금 포함 금액으로 비용 처리가 필요하다면,
비용 처리 기준
옵션을 이용하세요.
생성된 모든 지출 리스트는 정산 및 지출 > 지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[지출] 모든 계약 지출 보기 (02.13 예정)
계약에 입력해둔 모든 지출 내역을 한 페이지에서 모아서 볼 수 있어요.
![[지출] 모든 계약 지출 보기 (02.13 예정)](https://cf.channel.io/thumb/2400x1260,cover,webp/web_page/146487/67a99bf8d9dafb6cd15b/tmp-2007743456.png)
지출내역 입력 화면에서
계정과목
을 클릭하세요.하단
계정과목 편집
버튼을 클릭하세요.
계정과목 편집 화면에서 필요한
계정과목들을 추가하거나 수정
하세요.계정과목 편집이 끝났다면 우측 상단
X
버튼을 클릭하세요.
지출 내역들을 추가한 후, 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려보면, 각 계정과목 별 합계 금액을 알 수 있어요.
순이익 금액은 계약의 총 정산금액 - 총 지출금액 으로 계산돼요.
즉, 계약에서 정산이 생성되어야만 순이익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.
계약 & 정산 생성 가이드를 참고해보세요 :)
각 계약 별로 지출 예산을 설정할 수 있어요.
지출금액 하단
예산 설정 버튼
을 클릭하세요.
예산 입력 방식
을 선택하세요.전체 예산으로 입력 : 해당 계약에 할당된 전체 예산 금액만을 입력
과목별 예산으로 입력 : 해당 계약에 할당된 과목별 예산 금액으로 입력
금액 정보를 입력하고
설정 완료
를 클릭하세요.
예산이 입력되면, 지출 내역에 따라 잔여 금액과 초과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.